인형극장을 한동안 인영극장으로 알고 지냈다가 어느 날 누군가와 이야기하다가 인영이 아니라 인형 아니냐고 말을 들었습니다. 거길 안 다닌 지 꽤 많은 시간이 지난 다음이었기 때문에 저야 잘 모르겠기에 얼버무렸던 기억이 납니다.


일생 동안 영화관에 간 횟수를 문득 생각해 보니 얼마 안되네요.


국민학교 가기 전은 기억이 나지 않고, 국민학교 때 서너 번 간 기억이 있고(대표적인 게 봉선방, 십계), 중고등학교 때 두세 번(금발의 나타샤, 학생일 때는 모두 학교에서 단체로 간 것들입니다), 대학생일 때는 한두 번 간 것 같고(엑스칼리버), 군대 제대 후에는 두세 번 간 것 같습니다(라따뚜이). 다 모으면 10번쯤 되겠네요. 두 번의 시기가 여기서 추가되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인턴 때이고 또 하나는 군 복무 첫해입니다. 아, 전공의 1년차 때 의국에서 의국비 아껴서 보러 간 <우먼 인 레드>랑 전문의 시험 준비할 때 기분전환으로 시험 준비 중이던 전공의들이 단체관람한 <사랑과 영혼>이 추가되어야겠습니다.


인형극장은 1987년 부천 성가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할 때 갔었습니다. 네다섯 번쯤 간 것 같네요. 인턴이라는 직업은 지금은 모르겠고, 그 때에는 일이 있든 없든 병원 근처에서 살아야 하는 위치입니다. 당시에는 통금이란 게 있어서 12시가 되기 전에 어딘가 들어가야 했으니 집에 갔다왔다 하는 건 쉬는 시간을 생각해 본다면 사치였습니다. 그래서 인턴 일에 적응이 된 다음 시간이 나자 일이 공식적으로 없는 날에 영화관이라는 데를 가 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부천이니까 먼저 떠오르는 게 부천극장이지만 여긴 재개봉관(내지 재재개봉관)이라서 제외되었습니다. 서울은 멀고 인천이 오히려 가까운 곳이라 알아보니 누군가 인형극장을 이야기 해서 가게 되었죠.


플래툰, 로보캅, 백 투 더 퓨처, 프리데터를 거기서 보았던 것 같습니다.(일부는 91년 군 복무 때와 혼동되었을 수도 있음.)


아무튼 심야시간(이라고 해봤자 끝나면 11시 가까이 됩니다. 요즘하곤 개념이 다르죠.) 표를 끊어서 보고 난 다음 부지런히 동인천역으로 가서 기차를 타면 구로행 막차가 들어옵니다. 부천 역에서 내려서 병원으로 걸어가면 되는 것이지요.


심야시간은 할인이 됩니다. 실제로도 손님이 없어서 (다른 시간대에는 많았는지 제가 알 수 없는 노릇이지만) 2층 제일 앞 한가운데에 앉아서 보면 다리도 편하고 소리도 좋습니다. 이층 손님 수는 많을 때에는 3-4명, 적을 때에는 저 혼자입니다. 입체 음향이라는 걸 처음으로 느낀 게 인형극장이었습니다. 플래툰을 볼 때 헬리콥터가 도착하는 소리가 뒤에서 들리더니 앞으로 이동해서는 헬기가 화면에 내리더군요. 보통 이런 걸 문화 충격이라고 하지요.


딴 소리지만 <문화 충격>하면 스피커를 마련하여 컴퓨터에서 소리를 처음 들었을 때도 포함됩니다. 97년 경에 샀었던 것 같습니다. 컴퓨터 관련 비용을 관리하던 엑셀 파일을 잃어 버려서 불확실하네요.


다시 돌아가서, 그리고 뜸하다가 군에 간 다음 의무하사와 함께 의정부 극장에 가서 본 게 한두 편 됩니다. 남자들끼리 봐서 그런지 제목은 잘 기억이 안 납니다.


그렇다면 평생 영화관에 가서 본 영화가 어쩌면 20편이 안된다는 것이네요. 조금 더 될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제 영화 관람사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인천 인형극장입니다.


제가 본 영화 편수는 어림 잡아 6천 편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옛날엔 TV에서 주말이면 영화 네 편을 볼 수 있었습니다. TBS(후에 KBS2)에서 토요일 저녁에 한 편, 일요일 낮에는 EBS에서, 저녁에는 KBS1과 MBC에서 조금 시차를 두고 했으므로 1.7편을 볼 수 있습니다. 매주 4편이니 매년이면 210편입니다. 당시엔 공휴일이면 5-20편 정도 추가해서 볼 수 있었으므로, 꾸준히 본다면 1년에 300편 정도 TV에서 시청 가능했습니다. 한창 봤던 시기 15년이면 4500여 편이죠. 중복을 빼야 하니 조금 줄여야 할 것이고, 또 다 본다는 것도 무리이므로 더 줄입시다.


90년대 후반부터는 유니텔 같은 데서 영화를 받아 보았습니다. 2천 편이 넘을 것 같네요. 그 외에 갖고 있는 DVD가 이젠 수백 개이니, 다 합하면 5천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시 케이블 TV에서 가끔씩이지만 보게 됩니다. 주말에 아이들이 볼 때 같이 보는 것들입니다.


그러면 의문이 하나 떠오를 것입니다. 오육천 편이나 영화를 보았는데 왜 영화관엔 수십 번밖에 안 갔느냐 하는.


첫 번째 이유는 <눈이 안 좋아져서.>입니다. 영화관에 가서 보는 이유는 <넓은 화면과 음향이 좋으니까.>인데 <넓은 화면>은 잘 안 보이니까 탈락입니다.


두 번째는 <보다가 중지할 수 없어서.>입니다. 다운로드 받았던 것들이나 DVD는 중지했다가 이어서 볼 수 있습니다. 뭔가가 궁금하다면 즉석에서 다시 볼 수도 있고요. 사실 첫 번째 이유보다는 이게 더 절실합니다. 내가 통제할 수 있느냐가 저에게는 가장 큰 조건입니다.


세 번째는 앞의 두 가지에 비하면 아주 소소한 이유인데, 갈 만한 시기가 되기 전에는 TV로 해결했었고, 갈 만한 때가 되었을 때에는 위의 두 가지 이유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네 번째는 더 소소한 이유인데, 영화 관람료가 비싼 것 같습니다. 뭐, 이런 저런 할인 받으면 된다고 하는데, 저랑은 좀 거리가 있는 것 같더군요. 시도도 안해 봤으니 이런 말 하면 안될 것도 같습니다.


다섯 번째는 정말로 소소한 이유입니다. 여러 사람과 섞여서 보는 게 불편합니다. 어쩌면 2번과 상통하는 것일 겁니다.


본 것 다 기억하느냐는 질문이 있다면 당연히 아니라고 말씀 드려야겠지요. 하지만 요즘 것 말고 80년 대부터 2000년 대 초까지의 영화 중 상당수는 일부만 보면 즐거리 등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집에서 제가 책을 읽고 있을 때 애들이나 아내가 영화를 보는 편인데 제가 영화를 엄청나게 많이 보았다는 걸 알기 때문에 가끔 저 영화 본 적 있느냐고 물어보기도 합니다. 그러면 가서 잠시 보는데 그 시기에 했던 (그리고 제가 봤던) 것들은 상당수가 기억이 납니다. 물론 구체적으로 다음 장면에 뭐가 어떻게 된다는 것까지는 무리인 경우가 많지요.


그런데, 다시 보면 그 땐 몰랐던 장면이 새로이 보이기도 하더군요. 책도 마찬가지지만 뭐든지 여러 번 본다고 해서 재미가 없다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타 > 옛날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고장 (1)  (0) 2016.11.07
부산 범일동  (0) 2016.11.02
태풍. 행운과 불행은 같이 다닌다고 하더라  (2) 2016.10.06
제주도 연북로, 점점 막힌다.  (0) 2016.09.23
아라지구 재개발 관련  (0) 2013.12.27
Posted by SMHK
,